겨울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한가위
댓글 0건 조회 260회 작성일 23-09-03 07:40

본문

겨울눈
수목이나 다년생 초본이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겨울을 지내기 위해 만드는 눈.

1. 겨울눈의 생김새
겨울눈 줄기의 끝, 줄기의 곁에 붙어 있다.
잎눈은 갸름하고 길며, 꽃눈은 잎눈보다 둥글고 크다. 겨울눈의 겉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솜털로 덮여 있거나 진액으로 싸여 있다.

2. 겨울눈의 구조
여러 겹의 비늘잎으로 싸여 있으며, 꽃이 될 꽃눈, 잎이나 줄기가 될 잎눈, 잎과 꽃이 같이 나올 섞임눈의 생김새는 다르다.

3. 겨울눈이 추위에 견디기에 유리한 점
겨울눈은 비늘잎으로 싸여 있는데 비늘잎위에 솜털이나 진액이 덮여 있어 추위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4. 겨울눈의 종류
- 잎눈 :  봄에 싹이 터서 잎이나 줄기가 되는 눈
- 꽃눈 :  꽃이 되는 눈
- 섞임눈 :  잎과 꽃이 될 부분이 섞여 있는 눈

5. 겨울눈의 위치에 따른 종류
- 끝눈 : 나뭇가지의 끝에 붙어 있는 눈
- 곁눈 : 가지의 곁에 붙어 있는 눈

6. 겨울눈이 생기는 시기
-여름부터 가을

7. 겨울눈의 모양
- 잎눈 : 갸름하고 김.
- 꽃눈 : 잎눈보다 둥글고 큼.
- 비늘잎 : 겨울눈은 여러개의 비늘잎으로 싸여 있어 겨울을 나는 데 유리함.
- 비늘잎 위에는 부드러운 솜털이 나 있거나(예:목련)
- 진액으로 덮여 있는 것(예: 버드나무)도 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